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사노라면 성주 산골밥집 계곡옆 밥집별천지 산골밥집 네식구 김미자

by cheongchun 2025. 7. 8.
반응형

별천지에 자리한 산골 밥집, 그리고 네 식구
“속세가 아니로세. 별천지로세” 옛사람들이 감탄하며 시를 남길 만큼, 웅장한 물줄기가 흘러가는 경북 성주의 한 산골마을. 인적 드문 산골이지만, 밥 때만 되면 사람들이 모여드는 밥집이 있다.
 

계곡
계곡(출처: 사노라면)

 
그날그날 다른 반찬이 상에 오르고, 그 가짓수 꼽는 데도 열 손가락 모자라다는 소문난 밥집. 경상도 산골 남자를 만나, 어찌어찌하다 계곡 옆에 밥집을 차린 전라도 출신의 아내, 김미자(63세) 씨 손맛이 그 비결이다. 식당에서 쓰는 모든 재료는 이곳 골짜기 출신인 남편 이영현(65세) 씨와 동네에서 팔씨름 왕으로 통하는 시어머니 엄두금(85세) 여사가 공급해준다.
 

 
사노라면 성주 참외명인 꿀참외 사위 장인 참외밭농장 택배 주문 손인모 구교민

사노라면 성주 참외명인 꿀참외 사위 장인 참외밭농장 택배 주문 손인모 구교민

📣성주 참외 명인 장인사위참외 주문 소문난 호랑이 참외 명인의 사고뭉치 허당 사위노란 참외가 탐스럽게 열리는 경북 성주에는 40년 차 참외 명인 손인모(63세) 씨와 8개월 차 초보 농사꾼 사

cheongchun.tistory.com

 

 
새벽이슬 맞으며 밭으로 나가 온갖 채소를 심고, 또 길러내느라 바쁜 모자. 부모를 돕기 위해 도시생활을 접고 내려온 부부의 둘째 아들 이준혁(37세) 씨도 숨은 공로자다. 영현 씨는 중학교를 졸업하면서 도시로 나갔다가 나이 마흔 되던 해, 가족을 데리고 무작정 고향으로 돌아왔다.
 

성주
성주(출처: 사노라면)

 
그때만 해도 갑작스러운 환경 변화 탓에, 미자 씨는 맑은 물소리도, 새들의 지저귐도, 하다못해 개구리 울음까지 넌덜머리가 났다. 하지만, 어린 자식들을 키워야겠단 일념으로 라면 파는 구멍가게에서 시작해 지금의 밥집까지, 무에서 유를 창조해냈다. 떠나온 고향인데, 이들은 어쩌다 깊고 깊은 산골 고향으로 다시 내려오게 된 걸까?
 

시장을-본다
시장을 본다(출처: 사노라면)

 
오랜만에 영현 씨의 고향 친구들이 놀러 왔다. ‘별천지’라 불리는 포천계곡에 들러 어릴 적 그때처럼 물놀이도 하고, 참외도 쪼개 먹으며 즐거운 한때를 보낸다. 미자 씨는 바쁜 와중에도, 남편을 위해 계곡에까지 그녀의 사랑과 정성을 담아 닭백숙을 올려 보냈다.
 
 
눈 코 뜰 새 없이 바빴던 점심 장사를 끝내고, 한가한 시간이 되자 옛 생각에 잠기는 미자 씨. 티브이에서 흘러나오는 “내 인생에 박수를 보낸다”라는 노랫말이 마치 제 얘기 같아 눈물이 차오른다. 가족은 안 굶기겠단 생각에 듬직해 보였던 영현 씨와 결혼한 그녀였다.
 

성주밥집
계곡 옆 밥집(출처: 사노라면)

 
하지만, 남편 영현 씨는 좋은 회사에 취업하고도, 노동자들의 인권을 위해 헌신하느라 정작 가족을 등한시했다. 무려 7년씩이나 가족을 떠나 있었다. 그 세월 동안, 포장마차, 화장품 외판원 등등 미자 씨는 안 해본 일 없이 자식들을 돌봤고, 큰아들이 심장수술을 받을 때도 두려운 시간을 홀로 감당해야 했다. 남편은 둘째 아들이 일곱 살이 되던 해에야 집에 돌아왔다.
 

사장님
사장님(출처: 사노라면)

 
긴 부재 동안, 몸도 망가지고, 사람에게도 크게 실망하면서, 영현 씨는 고향인 산골 행을 택했다. 산골에 들어오고 나서야 가족에게 사무치게 미안해진 그. 그래서, 처음으로 농사에도 도전하고, 집도 손수 짓고, 미래를 저축하는 마음으로 병아리도 키우고, 아내를 위한 일이라면 발 벗고 나서고 있다.
 

할머니
할머니(출처: 사노라면)

 
자신을 믿고 또, 책망하지 않았던 아내와 어머니에게 늘 고마운 영현 씨. 마침 장날을 맞아 슬그머니 읍내로 나가 어머니에게 선물할 고무신과 아내가 좋아하는 꽃무늬 가득한 장화, 그리고 빵순이 아내를 위해 먹음직스러운 도넛도 두 봉지 사들고 집으로 향한다. 헌데, 막상 집에 도착하니 애지중지하던 닭 한 마리가 사라졌다.
 

계곡에-앉아있다
게곡에 앉아있다(출처: 사노라면)

 
아내가 닭 모이를 주다가 닭장 문단속을 소홀히 하는 바람에 닭들이 탈출한 것이다. 영현 씨는 닭이 사라진 사실조차 모르는 아내가 야속하고, 삵에게 잡아먹혔거나, 계곡물에 떠내려갔을지도 모를 닭 생각에 속상하다. 그래서 저도 모르게 아내에게 처음으로 벌컥 큰소리를 내고 만다.
 

경북-성주-계곡옆-산골밥집
계곡 옆 산골밥집(출처: 사노라면)

 
‘아내의 눈물을 닦아주는 남편이 되자’, 아니, ‘아내가 눈물 흘릴 일 없게 웃는 날만 만들어주자’ 수없이 다짐했던 영현 씨였다. 그의 다짐은 이렇게 수포로 돌아가는 것일까?
(출처: 사노라면)
 
한국인의 밥상 구례 피아골 밥집 지리산 산골밥집 초피 곤드레나물김치 산메기짜글이 산메기구이 산닭구이 산중밥상

한국인의 밥상 구례 피아골 밥집 지리산 산골밥집 초피 곤드레나물김치 산메기짜글이 산메기구

내 어린 날의 숲, 추억을 품다 –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전라남도 구례군의 피아골. 해발 800m가 넘는 깊숙한 산골짜기에서 40년 넘게 고향의 옛집을 지키며 사는 부부가 있다. 밤에는 산메기 낚

cheongchun.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