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cience story

생태계 평형 유지의 요인

by cheongchun 2022. 9. 19.
반응형

생태계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생물과 생물, 생물과 비생물적 요소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게 됩니다. 결국 먹이 사슬, 물질 순환, 원활한 에너지 흐름, 환경 요인 등이 상호 균형을 이룰 때 생태계의 평형이 유지되는 것입니다. 생태계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봅니다.

 

생태계 평형 유지 요인

생태계는 다양한 종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먹고 먹히는 복잡한 먹이 그물을 형성할수록 생물 종의 다양성이 커져 생태계의 평형을 잘 이룰 수 있습니다. 포식자와 피식자의 수가 먹이 사슬, 먹이 그물에 의해 잘 되어야 생태계의 평형이 유지가 되게 됩니다. 

 

먹이 사슬에서 피식자의 수가 감소하면, 포식자는 다른 먹이를 찾아 감소했던 피식자의 수가 다시 증가하게 되고, 포식자는 다시 원래의 피식자를 먹음으로써 포식자와 피식자 어느 한쪽의 개체수가 일시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더라도 시간이 오래 지나면 각각의 개체수가 일정하게 되어 평형을 이룹니다. 

 

먹이 연쇄나 먹이 그물 이외에 기후, 물, 빛, 온도, 공기, 토양 등 비생물적 요소에 의해 영향받기도 합니다. 또한 생태계의 생물들이 서로 경쟁, 공생, 포식 등 상호작용을 통해 유지됩니다. 

 

한정된 자원과 공산 속에서 생물이 자라게 되면 서로 경쟁을 하게 되어 생물의 생장과 생식이 제한받게 됩니다. 이런 경쟁 관계가 두 생물에게 매우 불리할 경우 생물이 서로 공생하기도 하는데, 이런 관계는 오랜 기간 동안 진화를 거쳐 성립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포식도 생태계의 평형을 유지하는데, 만약 포식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면 그 속의 생물 수는 자원이 고갈될 때까지 급격하게 늘어납니다. 하위 영양 단계에 있는 생물의 수를 감소시켜 자원 고갈에 의한 생태계를 막아주게 됩니다. 

 

미국 애리조나 주의 카이바브 고원은 사사람의 간섭에 의해 생태계가 파괴된 경우입니다. 사슴과 사습을 잡아 먹고사는 코요테, 퓨마 등이 있었는데 사람이 사슴을 포식자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코요테와 퓨마를 사냥한 경과 사슴의 수가 증가하여 사슴이 먹는 식물의 양이 증가하여 초원이 황폐되어 결국 사슴의 먹이가 부족해지고 두 번의 겨울이 지나면서 사슴의 개체수가 감소되어 생태계의 평형이 파괴된 예가 있습니다. 

 

생태계의 평형을 위해서 사람의 간섭을 가급적 줄여야 합니다. 평형이 유지되고 있는 생태계에 변화가 일어나면 그 영향으로 인해 생태계 전체에 큰 변화가 오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을 방아쇠 효과라고 합니다. 

 

인간이 생태계 평형을 위해 간섭하게 될 경우

인간이 생태계를 인위적으로 조절하려하거나 환경오염을 일으키고, 자연환경을 개발해 생태계가 파괴된다면 결국 인간도 살아가기 어려워집니다. 한 번 파괴된 생태계를 회복하는 것은 많은 비용과 오랜 세월이 걸리며, 어떤 경우에는 회복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생태계는 생물의 먹고 먹히는 관계에 의해 생물의 개체수나 생물량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평형을 이루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우리는 생태계가 훼손되지 않도록 사전에 예방하고 훼손된 생태계를 복원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만합니다.

 

생태계 복원을 위한 방법

하천 주변 주차장은 다른 곳으로 옮기고 나무와 풀을 심고, 하천을 오염시키는 쓰레기들을 치우고 정화시키는 식물을 심습니다. 우리가 자주 다니는 동네 근처 뒷산들에 운동을 다니며 혹시 사람들의 발길로 나무들의 뿌리가 땅 밖으로 드러난 것을 본다면 흙을 잘 덮어줍니다. 산이나 숲에 화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서울숲-가을-모습
가을의 서울숲

 

바다에 기름이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하면 물고기들이 많이 죽고 물고기를 잡아먹는 바다 새들이 먹이가 없게 됩니다. 기름이 유출되는 사고가 없도록 미연에 방지하고 만약 사고가 난다면 바위나 모래사장, 갯벌을 덮고 있는 기름을 닦아내야 합니다. 

 

결국 깨끗한 환경을 보전하고 이미 오염되었거나 훼손된 환경은 더 이상 훼손되지 않게 노력해야 합니다. 생태계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