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075

외부 은하 외부 은하의 분류 우리 은하 외부에 무수히 많은 은하들의 무리가 있는데 우리 은하 밖에 위치한 은하들을 '외부 은하'라고 합니다. 외부 은하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처음 밝힌 사람이 허블입니다. 은하들은 허블 분류표에 의해 보다 폭넓게 은하의 외형에 따라 형태 분류가 이루어집니다. 허블 분류표는 형태에 의존하여 분류한 것으로, 활동성 은하에서의 별 생성률이나 활동성 은하핵의 활동성 등의 특징은 고려되지 않은 분류표입니다. ▶ 타원 은하 타원은하는 관측자의 시선 방향과 무관하게 모양이 타원 형태인 은하로 형태가 구형에 가까운 것부터 찌그러져 있는 정도로(E0~E7) 나뉩니다. 나선 팔이 없는 타원형 은하를 말하는데 전체 은하의 약 20%를 차지하게 됩니다. 성간 물질이 적고 대부분 나이가 많은 별들로 구성되어.. 2022. 8. 8.
지구의 모양과 구조 우리가 살고 있는 푸른 행성 지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구는 우주에서 바라보았을 때 푸른색의 바다와 녹색의 산과 갈색의 토양에 흰색의 구름이 조화를 이루고 있는 정말 아름다운 행성입니다. 현재 지구의 나이는 약 46억 년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지구의 모양·크기·질량·밀도 ▶ 지구의 모양 지구는 기하학적 회전 타원체로 적도 반지름이 극 반지름 보다 큽니다. ▶ 지구의 크기(반지름) 지구는 완전 구이며 햇빛은 지구에 평행하게 입사한다는 가정하에 동일 경도상의 두 지점에서 측정한 조건으로 고위도로 갈수록 지구 반지름은 길게 계산됩니다. ▶ 지구의 질량은 만유인력 법칙을 이용해 계산됩니다. ▶ 지구의 평균 밀도 지구의 평균 밀도는 질량/부피 ≒ 5.52 g/㎠ 이며, 지구 내부에는 밀도가 큰 물질이.. 2022. 8. 8.
우리 은하(Milky Way Galaxy, the Galaxy)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가 어떻게 생겨났는지 가장 잘 알려진 이론 중 하나는 빅뱅이론입니다. 우주의 처음을 설명하는 우주론인 빅뱅이론에 따르면 150억 년 전 아주 큰 에너지를 가지고 있는 작은 물질과 공간이 거대한 폭발을 통해 우주가 되었다고 합니다. 빅뱅이론에서는 존재하는 모든 물질과 에너지가 작은 점에 갇혀있다가 폭발 순간에 그 작은 점으로부터 물질과 에너지가 서로에게서 멀어지기 시작해 그 물질과 에너지가 은하계와 은하계 내부의 천체들을 형성했다고 합니다. 우리 은하(Milky Way Gallaxy, the Gallaxy) 은하는 수천억 개의 별들이 모여있는 집단으로 빅맹이론에 따른 우주가 탄생한 후 생겨난 별들이 서로 끌려서 모이게 되어 만들어진 것입니다. 우주에는 약 1천억에서 5천억 개 정도의 .. 2022. 8. 7.
H-R도(Hertzsprung-Russell diagram, 헤르츠스프룽-러셀도)와 별의 종류 H-R도(Herzsprung-Russell diagram) H-R도는 별의 표면 온도, 색지수, 절대 등급(또는 광도)에 따라 별들의 위치를 표시한 별의 분포도입니다. 별들이 진화하는 과정과 물리적 성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910년경 헤르츠스프룽과 러셀이 별들의 절대 등급과 분광형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만든 것이 H-R도입니다. H-R도는 황색과 적색 별들(G-K-M에 속함)이 뚜렷하게 주계열성과 거성으로 구분이 되는 것을 보여줍니다. ▶ 주계열성 젊은 별들의 집단으로 수소핵 융합 반응으로 에너지를 생산합니다. 주계열성 별들은 질량이 클수록 광도가 크고, 반지름도 큽니다. 주계열성에 속하는 별들은 질량이 커질수록 표면 온도가 높은데, 별의 질량이 클수록 주계열에 머무는 기간은 짧아집니다. ▶ 적색거.. 2022. 8.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