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051

별의 밝기와 별의 운동 별의 밝기와 등급 고대 그리스의 히파르코스는 육안으로 관찰할 때 가장 밝은 별의 등급을 1등급, 가장 어두운 별의 등급을 6등급으로 정하였습니다. 후에 포그슨이 1등급에서 6등급까지 5등급 차이가 나는 두 별의 밝기가 약 100배 차이가 남을 알아냈습니다. ▶ 겉보기등급(M) 겉보기등급은 눈에 보이는 별의 밝기로 실시 등급이 작은 별일수록 육안으로 볼 떄 밝게 보입니다. 겉보기 밝기는 별까지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합니다. ▶ 절대 등급(m) 절대 등급은 별의 실제 밝기(광도)를 비교하기 위해서 별이 10pc의 거리에 있다고 가정하고 계산하는 별의 밝기입니다. 절대 등급이 작은 별일수록 방출하는 복사 에너지의 량이 많습니다. ▶ 거리지수 거리 r(pc)인 별의 겉보기 등급을 M, 절대 등급을 m이라고 하면.. 2022. 8. 6.
태양의 구조 태양의 내부 구조 ▶ 핵 고온, 고압, 고밀도의 기체 상태로 온도는 약 1,500만 K 이상, 밀도는 약 160g/㎠, 압력은 약 2,500억 기압입니다. 태양 중심의 고온, 고압, 고밀도 환경에서 네 개의 수소가 하나의 헬륨으로 융합 반응이 일어나 발생하는 질량의 손실이 에너지를 생산하게 됩니다. 태양은 그 에너지를 모든 파장의 빛으로 방출하게 됩니다. ▶ 복사층 태양의 핵에서 생성된 에너지를 복사의 형태로 대류층까지 전달하게 되는데, 태양 내부 부피의 약 70%를 차지합니다. ▶ 대류층 태양의 내부로부터 전달되어 온 에너지를 대류에 의해 태양의 표면까지 전달하게 됩니다. 태양의 표면(광구) 대류층 밖의 태양의 표면으로 평균 온도는 약 5,800K이고, 두께는 약 500㎞입니다. ▶ 쌀알 무늬 쌀알을 .. 2022. 8. 6.
달의 변화와 일식과 월식 달 달은 지구의 주위를 도는 위성으로, 지구에 가장 가까운 천체입니다. 달의 반지름은 지구의 약 1/4이며, 중력은 약 1/6입니다. 대기와 물이 없기 때문에 일교차가 매우 크고, 달의 모습을 가까이서 찍은 사진을 보면 울퉁불퉁한 구덩이(크레이터)가 많습니다. 달의 앞면에서만 최소 크기가 1㎞ 이상인 크레이터가 약 30만 개가 관찰이 되는데, 화산활동으로 생겼을 가능성도 있지만 대형 운석의 충돌로 구덩이가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합니다. 달의 크레이터 중에 가장아름다운 것은 티코 크레이터이며, 아름다운 고리 모양의 산지가 있는 코페르니쿠스 크레이터, 조금 더 작은 케플러 크레이터, 크기가 무려 40㎞나 되는 아리스타르코스 크레이터 등이 유명합니다. 크레이터는 보름달일 때 가장 잘 보이는데, 지구의.. 2022. 8. 5.
소행성, 혜성과 유성 소행성 소행성은 화성과 목성 사이에서 태양의 둘레를 공전하고 있는 크기가 작은 천체들로 티티우스-보데 법칙(Titius-Bode law, 행성들은 태양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위치한다는 법칙)에 의해 발견되었습니다. 현재 약 4,000개 이상의 궤도가 알려져 있으며 세레스는 지름 약 400㎞로 가장 큰 소행성입니다. 소행성들은 화성과 목성 사이의 궤도에서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합니다. 어떤 것들은 긴 타원궤도를 가지고 있어 수성보다 태양에 접근하기도 하고 천왕성 궤도까지 멀어지기도 합니다. 화성과 목성 사이가 아닌 또 다른 위치에서 소행성 무리를 볼 수 있습니다. 트로이소행성군이라 불리는 소행성 그룹은 목성 궤도 위에 있고 목성 앞뒤로 60˚ 위치에 존재하고, 지구와 화성 사이에 있는 아모르 소행성군,.. 2022. 8.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