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120

H-R도(Hertzsprung-Russell diagram, 헤르츠스프룽-러셀도)와 별의 종류 H-R도(Herzsprung-Russell diagram) H-R도는 별의 표면 온도, 색지수, 절대 등급(또는 광도)에 따라 별들의 위치를 표시한 별의 분포도입니다. 별들이 진화하는 과정과 물리적 성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910년경 헤르츠스프룽과 러셀이 별들의 절대 등급과 분광형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만든 것이 H-R도입니다. H-R도는 황색과 적색 별들(G-K-M에 속함)이 뚜렷하게 주계열성과 거성으로 구분이 되는 것을 보여줍니다. ▶ 주계열성 젊은 별들의 집단으로 수소핵 융합 반응으로 에너지를 생산합니다. 주계열성 별들은 질량이 클수록 광도가 크고, 반지름도 큽니다. 주계열성에 속하는 별들은 질량이 커질수록 표면 온도가 높은데, 별의 질량이 클수록 주계열에 머무는 기간은 짧아집니다. ▶ 적색거.. 2022. 8. 7.
별의 밝기와 별의 운동 별의 밝기와 등급 고대 그리스의 히파르코스는 육안으로 관찰할 때 가장 밝은 별의 등급을 1등급, 가장 어두운 별의 등급을 6등급으로 정하였습니다. 후에 포그슨이 1등급에서 6등급까지 5등급 차이가 나는 두 별의 밝기가 약 100배 차이가 남을 알아냈습니다. ▶ 겉보기등급(M) 겉보기등급은 눈에 보이는 별의 밝기로 실시 등급이 작은 별일수록 육안으로 볼 떄 밝게 보입니다. 겉보기 밝기는 별까지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합니다. ▶ 절대 등급(m) 절대 등급은 별의 실제 밝기(광도)를 비교하기 위해서 별이 10pc의 거리에 있다고 가정하고 계산하는 별의 밝기입니다. 절대 등급이 작은 별일수록 방출하는 복사 에너지의 량이 많습니다. ▶ 거리지수 거리 r(pc)인 별의 겉보기 등급을 M, 절대 등급을 m이라고 하면.. 2022. 8. 6.
태양의 구조 태양의 내부 구조 ▶ 핵 고온, 고압, 고밀도의 기체 상태로 온도는 약 1,500만 K 이상, 밀도는 약 160g/㎠, 압력은 약 2,500억 기압입니다. 태양 중심의 고온, 고압, 고밀도 환경에서 네 개의 수소가 하나의 헬륨으로 융합 반응이 일어나 발생하는 질량의 손실이 에너지를 생산하게 됩니다. 태양은 그 에너지를 모든 파장의 빛으로 방출하게 됩니다. ▶ 복사층 태양의 핵에서 생성된 에너지를 복사의 형태로 대류층까지 전달하게 되는데, 태양 내부 부피의 약 70%를 차지합니다. ▶ 대류층 태양의 내부로부터 전달되어 온 에너지를 대류에 의해 태양의 표면까지 전달하게 됩니다. 태양의 표면(광구) 대류층 밖의 태양의 표면으로 평균 온도는 약 5,800K이고, 두께는 약 500㎞입니다. ▶ 쌀알 무늬 쌀알을 .. 2022. 8. 6.
달의 변화와 일식과 월식 달 달은 지구의 주위를 도는 위성으로, 지구에 가장 가까운 천체입니다. 달의 반지름은 지구의 약 1/4이며, 중력은 약 1/6입니다. 대기와 물이 없기 때문에 일교차가 매우 크고, 달의 모습을 가까이서 찍은 사진을 보면 울퉁불퉁한 구덩이(크레이터)가 많습니다. 달의 앞면에서만 최소 크기가 1㎞ 이상인 크레이터가 약 30만 개가 관찰이 되는데, 화산활동으로 생겼을 가능성도 있지만 대형 운석의 충돌로 구덩이가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합니다. 달의 크레이터 중에 가장아름다운 것은 티코 크레이터이며, 아름다운 고리 모양의 산지가 있는 코페르니쿠스 크레이터, 조금 더 작은 케플러 크레이터, 크기가 무려 40㎞나 되는 아리스타르코스 크레이터 등이 유명합니다. 크레이터는 보름달일 때 가장 잘 보이는데, 지구의.. 2022. 8. 5.